I/O의 미래 - 3세대 I/O 버스
2세대까지의 I/O 버스들이 인텔의 주도 하에 만들어져왔다면, 3세대 I/O 버스는 인텔이 주도해온 PCI의 연장선상에 존재하는 PCI Express, 즉 3GIO(3rd Generation I/O, 말 그대로 3세대 I/O)와 AMD가 주도하는 하이퍼트랜스포트로 진영이 양분되어 있다.
![]()

현재까지는 하이퍼트랜스포트 쪽이 기술적인 면에서나 업체들의 지원 면에서 약간의 우위를 보이고 있다. 하이퍼트랜스포트의 경우 이미 이를 적용하기 위한 하이퍼트랜스포트 컨소시움에 50개 이상의 업체가 참여한 상태이다.
관련기사 : 하이퍼트랜스포트 컨소시움 가입사 50개사 돌파
이들 인터페이스들을 보면 새로운 I/O를 통해서 시스템의 중추를 구성하겠다는 데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3GIO와 하이퍼트랜스포트가 내세우는 개념을 보면 다음과 같다.
또한, 고속의 시리얼 링크를 사용하여 시스템 내부의 각 기기를 연결하며, 단방향 데이터 버스를 2개 사용해서 양방향으로의 동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 지금까지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되어 온 다양한 버스방식들을 하나로 통일하고 PCI 등의 외부 확장버스는 브릿지를 사용해서 이들 버스에 연계시킨다는 점 등을 보면 양쪽이 의도하고 있는 바는 거의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3GIO가 프로세서 버스에서만은 현재의 AGTL+ 버스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는 반면, AMD의 경우 프로세서와 노스브릿지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 사이사이도 하이퍼트랜스포트로 연결하여 다중프로세서 구성에서 프로세서끼리의 하이퍼트랜스포트 네트웍을 구성한다는 점 등의 차이점이 있다.
이들은 3세대 I/O의 주도권 시장을 두고 경쟁을 벌이게 되는데, 지금까지 I/O 기술을 주도해 온 인텔이 하이퍼트랜스포트를 앞세운 AMD에게 밀릴 것인가 그렇지 않을 것인가에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이퍼트랜스포트와 3GIO에 대해서는 앞으로 두번의 강좌를 통해서 각각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