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 16, 2008

10 Simple Steps to a Green Datacenter

Making your datacenter eco-friendly can bring your company major benefits and put you ahead of the environmental trend.

If the cost to implement a green datacenter is holding you back, consider how much you're spending right now on energy output. According to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data centers used an estimated 12 billion kilowatt hours of electrical power in the year 2000, expanding to 23 billion in 2005.

Meanwhile, the U.S. server market is expected to grow from 2.8 million units in 2005 to 4.9 million units in 2009, according to Andrew Fanara, leader of the EPA Energy Star product development team. Since power consumption is growing rapidly, companies need to find ways to cut back now, as well as find greener alternative energy sources.



Related Articles:



Congress, the EPA and private industry are already getting involved. With recent legislation passed last year, Congress requested a report on datacenter power consumption, due by June 16th. The EPA team, headed by Fanara, is working with private companies and is expected to set green Energy Star standards for datacenter appliances later this year.

In early 2007, major corporations such as AMD, Intel, IBM, Sun and Microsoft rallied behind the cause and formed a non-profit consortium, The Green Grid, with the goal of reducing data center power consumption around the world. Representatives are holding their first conference this week in Denver, Colo., to discuss technical standards.

Another proponent for an eco-friendly data center is the U.S. Green Building Council (USGBC), who has added a new certification for datacenters that meet rigorous green standards.

Get Involved

You can have a greener datacenter with just a few simple steps. In the long term, you'll reap the ROI of a slashed energy bill and the rewards of a healthier, more comfortable work environment. When standards become legislation further down the road and other companies are scrambling to comply, you'll already be breathing fresh, clean air.

Here are ten ways you can go green:

1. Evaluate your energy efficiency.
Add up your energy bills, learn where your energy comes from, and how it’s being distributed in your company. Plan a road map for monitoring and reducing usage. Your initial evaluation can provide a baseline for calculating your ROI after implementing changes.

2. Redesign your cooling system.
Enclose your servers in hot aisles so you can concentrate your cooling directly onto the racks. Be sure to reduce airflow loss by sealing off holes in your walls, floors and ceilings, and make sure you have proper air ducts.

3. Reconsider your redundancy.
Many companies invest in redundant cooling and heating systems that use double the amount of power they usually need -- for each kilowatt of energy needed, redundant circuits use two. This helps prepare systems for growth and times of peak performance, but the result is a maximum power flow where only a fraction of that power is put to use. This practice is inefficient and inflates your energy bills. Cut back your redundancy wherever possible, to operate based on your current needs rather than projecting your future needs.

4. Use adjustable equipment.
You can also plan for growth and times of peak power needs by implementing scalable and modular systems. Scalable blade servers can concentrate more computing power in a smaller space, requiring less power to cool. Also any scalable system will let you operate at your minimum power requirements and give you the capacity to grow into higher power consumption when you're ready.

5. Virtualize your storage.
Most servers are underused, because they’re loaded with archaic information or software that’s only needed some of the time. With storage virtualization software or a device, you can make your applications mobile and thereby shutdown unneeded servers. The virtualization device will keep track of your server space and remap applications to different physical locations as necessary to achieve optimal efficiency. Thus, information can be made location independent and redirected across multiple I/O devices from different vendors.

6. Use Energy Star-rated appliances.
Although the EPA hasn’t yet released Energy Star standards for data servers, you can purchase other appliances, such as cooling systems, that do meet current standards. Keep an eye on the industry -- new star ratings are due for desktop computers in July, and the EPA may also enforce star ratings for data center appliances sometime in the next year.

7. Donate or recycle legacy servers.
Archaic systems are less efficient than new ones, so you can save money by buying new systems and decommissioning old ones. However, because servers contain huge amount of toxic waste, never throw a machine in the trash. Many nonprofit or educational organizations can make use of old servers. There are also many vendors who handle computer equipment recycling, who can strip the machines of useful parts and properly dispose of the toxic remains.

8. Look outside the datacenter.
Your company can cut costs outside its server rooms, for example by using earth-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such as low-emission carpets and paints and non-toxic insulation; creating skylights, windows and other natural lighting sources; and by landscaping with native and drought-tolerant plants that require less water consumption and support the local ecosystem.

9. Research alternative power sources.
The best way to stay clean is to find alternative energy that works for you. Photovoltaic systems are popular -- solar panels on your roof are a simple step and will reduce your dependence on the power grid. Other options include wind energy, heat pumps, and evaporative cooling can lower your cost and significantly reduce your company's environmental footprint.

10. Get your management involved.
To fully embrace changes in the datacenter, you need to get the buy-in from your upper management. You can get them fired up about being an eco-friendly company by brainstorming earth-friendly ideas that will help everyone in the company, such as using hybrid or electric company vehicles or starting a commuter shuttle for your employees. Once they're interested, you can easily bring up the green question whenever you discuss the growth of your data center.

Related Articles:>>

Pressure Moving Mainstream in IT >>

for Datacenter Efficiency

Guidelines for Energy-Efficient Datacenters

Solar-Powered Datacenters

YouTube의 API 공개와 플랫폼화, Google의 광고사업 확대에 큰 기회가 될 것

Cnet News, 2008/03/13

동영상 공유사이트 YouTube가 타 웹사이트와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등에 임베드 (Embed) 가능한 새로운 API를 3월11일 공개했다. 이번 API 공개로 인해 개발자는 동영상 업로드시 YouTube에 좀더 손쉽게 직접 접속할 수 있게 되었으며, 기존 YouTube의 인터페이스와 브랜딩에 의존하지 않는 chromeless한 플레이어를 작성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YouTube가 범용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YouTube의 인프라를 이용한 다양한 동영상 서비스가 나돌기 시작할 것이고, YouTube의 모회사인 Google은 대량의 동영상을 손안에 넣게 될 것이다.

기술 플랫폼으로 재탄생하려고 하는 것은 YouTube 뿐만이 아니다. 이와 관련해Micro Persuasion이라는 블로그를 집필하고 있는 Steve Rubel 씨는 다음과 같은 견해를 밝혔다.

"거대 인터넷 기업들은 단순히 거대 웹사이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API를 개발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으로 변신하려 한다. YouTube도 이번 발표로 이러한 움직임에 따르고 있는 것 뿐이다. 아마존에는 온라인스토리지 서비스 S3가, 구글에는 OpenSocial이라는 거대한 API 라이브러리가 있으며 MS도 마찬가지다. Facebook은 애플리케이션을 외부에서 개발할 수 있게 했고, Twitter는 처음부터 API가 존재했다. 그리고 위젯의 발전은 어디에나 옮겨 갈 수 있는 콘텐츠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Silicon Alley Insider 블로그 운영자인 Dan Frommer씨는 “API 확장으로 인해 타 사이트 방문자가 해당사이트에 그대로 머물면서 YouTube에 동영상을 바로 올릴 수 있다는 점을 가장 큰 장점으로 꼽았다. 사이트의 페이지뷰도 그대로이고 동영상 호스팅 요금을 지불할 필요도 없다. 한편 이를 활용해 Google은 아마도 외부사이트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광고를 판매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이번 발표에서는 광고매출의 분배에 대해서는 어떤 언급도 없기 때문에 무료 서비스로 제공하는 대신 광고매출은 모두 Google이 가져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한가지 문제가 남아 있다. 바로 콘텐츠 제작자들이다. 이미 저작권 문제로 인해 구글과 YouTube에 반감을 가지게 있으며, Viacom의 경우에는 Google과 YouTube를 상대로 한 10억 달러 손해배상청구 소송도 매듭지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Microsoft의 경우는 독점금지법 위반과 관련해 정부와의 화해가 이루어진 후 소송을 해결하기 위해 거액을 지불해야 했다. 그러나 이는 Micosoft가 사업을 지속하기 위해 어쨌든 필요한 비용이었다.

아마도 Google은 판결이 내려지기 전에 화해를 이끌어 내려고 할 것이다. YouTube와 같은 동영상 공유 사이트의 인기는 앞으로 더욱 높아질 것이고 Google은 무엇이 중요한지를 잘 알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iPhone SDK, 발표 3일만에 다운로드 수 10만 건 돌파…개발중인 애플리케이션도 공개


CNet News, 2008/03/13

Apple이 지난 6일 공개한 iPhone의 소프트웨어개발킷(SDK)이 발표 3일째인 3월9일 현재 다운로드수 10만 건을 돌파하는 등 개발자들의 관심이 폭주하고 있다.

Apple은 6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시의 Apple 본사에서 이벤트를 개최하고 iPhone SDK를 공식 출시했다. 이로써 Apple은 third party 개발자들이 SDK를 이용해 게임과 비즈니스용 소프트웨어를 비롯한 iPhone 애플리케이션을 공식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게 된 셈이다.

공개 첫 날에는 iPhone SDK를 입수하려는 일부 개발자들의 접속 폭주로 한 때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Apple은 가입절차를 마친 개발자들에게 iPhone SDK 접속 또는 다운로드와 관련해 불편을 끼친 점을 사과하는 이메일을 전송했다. 접속 폭주로 인한 문제는 초기의 뜨거운 관심이 식으면서 자연히 해소되었다.

Apple은 12일 보도자료를 통해 많은 개발자들의 코멘트를 인용해 현재 개발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소개했다. Intuit(TurboTax), Namco Networks(Pac-Man 및 Galaga), NetSuite(ERP/CRM소프트웨어), Six Apart(블로그 소프트웨어) 등 일부 기업은 임원의 코멘트를 Apple의 보도자료를 통해 게재했다. 또한 AOL, Sega, EA, Epocrates, Salesforce.com 등의 기업들은 이번 이벤트를 통해 자사의 iPhone 애플리케이션 초기판을 선보이기도 했다.

SDK 베타버전은 http://developer.apple.com/iphone/program/에 들어가서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단, 개발자는 개발자 프로그램인 iPhone Developer Program에 가입해야 하며 SDK를 통한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할 경우, 연간 99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Mar 10, 2008

스위치 벤더들, "서버 흡수하겠다"

스위치 기능 확대로 '無서버 시대' 도전…종속, 비용부담이 관건
2008년 03월 10일 (월) 02:02:09 InformationWeek USA webmaster@itdaily.kr

IP네트워크는 먹통이다. 즉 중앙 두뇌가 없어 유연하고 탄력적인 까닭에 세상을 지배해 왔다. 그러나 이제 애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 단에서 조정할 수 있는 서버 통합형 스위치 제품 시대가 열리고 있다.

시스코시스템즈, 주니퍼네트웍스, 마이크로소프트와 더불어 여러 신생 회사들까지 IP 네트워크의 본래 성격을 탈피하여 서버와 엔드 포인트에 들어 있는 데이터 처리 기능들을 네트워크 장비로 옮기는 것이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플랫폼을 내놓기 시작했다.
한마디로 범용 장치들을 전용 스위치들이 대체하는 시대가 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하드웨어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렇다고 유연성과 속도 향상이라는 이득을 대체할 만큼 비용부담과 종속이라는 위험을 감수할 만한 이익이 있을까?

시스코는 네트워크화된 CPU와 메모리 자원에 서버 기능들을 집어 넣는 것부터 시작했고 장래에는 기업들의 데이터센터가 시스코의 거대한 스위치에서 작동하는 가상 머신에서 대부분 작업을 수행하게되는 비젼을 제시하고 있다. 주니퍼 네트웍스는 자사의 스위치를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이 액세스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한다. 쓰리콤은 VM웨어와 손잡고 가상 서버를 라우터에 내장시켰다.

RFID 판독기부터 무선 센서 등 매우 다양한 종단 장치들의 기능들을 이식시키려는 신규 업체들도 있다. 심지어 IBM도 유행에 동참하여 XML 프로세싱을 서버에서 떼어내고 전용 칩을 사용하여 웹스피어 미들웨어를 가속시키는 장치들을 판매하고 있다.

◆”모든 것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한다”=네트워크가 과도하게 확장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 중 일부는 기술의 보편적인 진보 과정이다. 네트워크 스위치에 방화벽, 무선 신호 관리, 네트웍 액세스 제어가 추가된 것은 마치 핸드폰이 카메라와 음악 플레이어를 흡수한 것과 같다. 이 복합 장치들은 사전 설정할 수 있어, IT 스태프가 없는 지사에 보낼 때 편리하다. 그래서 네트워크 업체들은 제일 먼저 지사부터 생각한다.

노텔네트웍스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파트너십를 맺어 시큐어 라우터에 일반적인 보안 기능과 더불어 VoIP와 협업 솔루션을 얹었고 시스코는 통합 서비스 라우터(ISR)에 XML 가속기나 WAN 최적화를 위한 모듈을 추가적으로 구입할 수 있게 했다. 이런 장치들에 대해서 조직이 분산되어 있는 기업들의 CIO들은 “모든 것을 한 장치에 통합시켜 넣어 원격 파일 서비스 등의 필요성을 없애고 플럭 앤드 플레이로 작동할 수 있는 점들이 매우 좋다”고 말한다.

시스코는 단순한 지사 솔루션보다 더 큰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시스코가 특정 회사를 합병한 후 가장 우선적으로 하는 일이 합병된 회사의 기술을 자사의 거대한 데이터센터 스위치인 Catalyst 6500 에 모듈화 해 넣는 것이다. 방화벽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와 데이터베이스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차이점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서비스의 대부분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시작했다.”고 시스코의 어드밴스드 서비스 부문부사장인 빌 뤄(Bill Ruh)는 말한다. 지난 10년간 많은 것들이 네트워크로 옮겨졌다. 특히 전용 칩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서비스가 기능상 큰 이점을 얻을 수 있다. SSL이나 XML의 사용은 내부 가속 카드를 사용할 정도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지만 장치를 공유하는 점은 여전히 유용하다. 기능을 서버에서 이전하면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비용도 줄이고 서버의 출력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에만 전용할 수 있다는 점이 더욱 중요하다.

◆네트워크가 실질적인 컴퓨터가 된다=네트워크 장비 업체인 시스코가 서버 기능을 네트워크 장치로 대체하려는 것은 너무나 자명하다. 하지만 IT를 담당하는 입장은 어떤가?

현재 대부분 서버들은 범용 x86 박스에서 실행된다. 기능들을 스위치로 옮기면 필연적으로 전용 하드웨어를 사용해야만 하는데, 이는 벤더들의 플랫폼에 종속되고 많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도 이전을 해야할 필요가 있을까?

시스코는 두 가지 이유를 제시한다. 첫째, 대역폭이 크게 향상된다. 스위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스위치 백플레인 용량 전체를 액세스할 수 있다(Catalyst 6500의 경우 256Gbps, 최근 시스코가 출시한 차세대 스위치인 Nexus 7000의 경우 15Tbps). 둘째, 훨씬 유연해진다. 시스코의 연례 C-Scape 컨퍼런스에서 CEO인 존 챔버스는 전기 비용이 싼 곳이면 세계 어디든 설치 가능한 VM에 대해 언급했다.

스위치 백플레인에 직접 연결되어야만 하는 애플리케이션은 그리 많지 않다. 시스코도 이 사실을 인정한다. 시스코는 콜매니저 PBX 소프트웨어나 와이어리스 위치 추적 장치 등과 같은 비교적 네트워크 중심적이지 않은 제품들은 6500에 포팅하지 않았다. 표준 이더넷에서도 잘 작동하는 IP 전화와 Wi-Fi 사용자 위치 질의 서비스를 스위치에 직접 넣는 것은 괜히 Catalyst 슬롯만 낭비하는 것이다.

이 등식은 가상화 중심으로 생각하면 달라진다. 개별적인 애플리케이션이나 장치가 스위치 슬롯을 하나씩 차지할 정도로 대역폭을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여러개의 애플리케이션이나 가상 장치들이 합쳐지면 문제가 달라진다. 전통적 아키텍쳐에서는 16포트 기가비트 이더넷 모듈을 사용해서 스위치 하나에 16개의 서버를 연결하지만 가상 데이터센터는 16개의 가상 머신을 모듈에 직접 연결한다.

유연성을 최대한 발휘하려면 하드디스크없이 스토리지 네트워크에 의존하여 작업 부하가 서버 또는 스위치들 사이를 실제 데이터 추출없이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시스코는 메모리도 마찬가지로 서버나 가상 머신 외부로 이전되어 CPU를 링크하는 새로운 타입의 네트워크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네트워크가 실질적인 컴퓨터가 되는 것이다.

이 전망은 현실성이 있을까? 시스코는 써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카달리스트 6500이나 다른 스위치용 모듈을 아직 출시하지도, 언제쯤 출시할 것인지도 발표하지 않고 다만 향후 10년에 대한 비젼을 제시했다.

결론=먹통 네트워크는 이제까지 매우 성공적이었고 거기엔 충분한 이유가 있었다. 연산 용량이 풍부했고 네트워크 대역폭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대부분 처리가 종단에서 이뤄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긴 하지만 애플리케이션 딜리버리 콘트롤러와 WAN 최적화는 지능형 네트워크가 필요할 여지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아직 넘어야할 기술적, 물리적 걸림돌이 있다. 스위치 백플레인 속도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많은 열이 발생하는데 이는 시스코가 Nexus용 카탈리스트 스타일의 서비스 모듈을 출시하지 않은 중요한 이유다. 그래서 Nexus 스위치는 SAN과 LAN을 하나의 물리적 케이블에 가상화시키는 정도의 네트워크 통합에만 초점을 맞췄다.
◆쓰리콤도 VM웨어와 손잡고 동참=이 유행에 적극적으로 나선 경쟁사들이 있다. 2007년 1월 쓰리콤은 서버 기능을 네트웍 장치로 옮기는 것을 겨냥한 Open Service Network 제품군을 출시했다. 그 중 OSN 모듈이 가장 중요한 데, 자사의 엔터프라이즈용 6000 시리즈 라우터와 지역 사무실을 위한 복합서비스 라우터(MSR)에 블레이드 서버를 탑재한 것이다.

블레이드 서버는 리눅스의 커스텀 버전을 사용하는데 라우터 백플레인에 직접 연결되며 쓰리콤 API를 통해 제어 채널에 연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블레이드 서버 상의 애플리케이션이 트래픽을 특정 목적지로 라우팅하며 특정 패킷에 우선 순위를 두거나 일부 패킷을 선택하여 심도있는 프로세싱을 할 수도 있다.

현재까지 OSN은 스위치와는 작동하지 않고 라우터만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코가 생각하는 대역폭 상의 이점은 없다. 하지만 3Com도 그 기술을 스위치용으로도 사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OSN의 주된 매력은 다른 통합 애플리케이션처럼 코드를 통합하되 네트워크 인프라와 밀접하게 만들어 네트워크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특히 적합하게 만드는 것이다.

OSN은 모든 리눅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스코의 방식보다 훨씬 개방적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라우터 내부에 접근하는 것은 쓰리콤의 소프트웨어나 쓰리콤 파트너의 소프트웨어보다는 제한적이다. 현재 쓰리콤은 WireShark 프로토콜 분석기, NTOP 트래픽 프로브, Nagios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등 여러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의 커스텀 버전들을 제공하고있다. 지금까지 발표된 파트너 애플리케이션으로는 Expand Networks의 WAN 최적화 장비, 디지엄의 IP 텔레포니, 베리셉트의 이메일 누출 방지기, Q1랩스의 보안 이벤트 매니저 등이 있다.

쓰리콤은 이미 VM웨어와 손잡고 OSN 라우터에서 윈도우를 비롯한 기타 x86 운영 시스템을 실행시킬 준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들은 재작성되지 않은 리눅스 애플리케이션과 마찬가지로 라우터의 내부 작동을 액세스할 수 없다. 쓰리콤은 써드파티 개발사들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올해 상반기 중으로 내놓을 예정이다.

이미 작업을 시작한 곳도 있다. 캐나다 온타리오 교외의 무선 ISP 사업자인 에버러스 커뮤니케이션즈는 자체 개발한 매니지먼트 애플리케이션을 MSR로 옮기고 있다. 이 회사의 매니지먼트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리눅스 서버에서 실행되는데 고객의 장비에서 데이터를 수집해서 문제가 발생할 때 고객지원 센터에 알리는 기능을 한다.

Mar 7, 2008

구글 사이트의 사례를 통하여 예측되는 2008년과 그 이후 주목되는 시장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8-01-19

2007년 가장 큰 성장사이트는 유튜브이었고, 2008년에는 이러한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동영상이 PC뿐 아니라, 모바일과 무선 웹과도 연동되어 다양하게 제공되면서, 성장을 이어갈 예정이다. 바로 이러한 유튜브를 소유하고 있는 구글 사이트는 웹 비디오 시장의 점유율을 현재 31%까지 차지하고 있는데, 7천 9백만 명의 사용자들이 본 사이트에 있는 29억 개의 비디오 동영상을 본 것으로 comScore의 조사자료에서 나타나고 있다.
현재 비디오 동영상 사이트의 1위는 유튜브이고, 2위가 4억 개의 파일을 가진 폭스 인터렉티브 미디어 사이트이며, 그 다음이 3억 2천만 개의 파일을 가진 야후 사이트, 그 다음이 3억 4백만개의 파일을 가진 비아컴 디지털 사이트이다. 사용자에게 있어서 구글의 이러한 웹시장의로의 약진은 검색시장에서의 독보적인 지위를 비디오 시장으로까지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comScore사의 조사자료에서는, 향후 1-2년 내에 구글사의 비디오 시장 점유율이 60퍼센트까지 성장하게 될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구글사의 검색엔진의 가장 큰 수익모델은 키워드 광고모델인데, 사용자들은 지난 2007년 한 해 동안 검색엔진을 사용하는 와중에 광고들을 클릭하였고, 2007년 한 해 동안 구글사의 이러한 키워드 광고를 통한 수익은 160억 달러에 달하였다.
이러한 검색엔진 시장, 비디오 시장에 이어 2008년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가 모바일 광고시장인데, 이는 애플사의 아이폰 출시로 더욱 촉진되고 있고, 구글사는 이러한 모바일 시장에 자사의 구글폰을 개발함과 동시에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현재 전문가들은 구글사가 비디오 광고시장에 이어 모바일 광고시장에서도 큰 수익을 낼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다.
현재 미국의 인터넷 사용자 중 75퍼센트 이상이 온라인으로 비디오를 보고 있고, 2007년 11월을 기준으로 일인당 월평균 3.25시간 동안 비디오를 시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AccuStream의 최근 보고서에서는 2007년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와 오디오 서비스를 통한 전체 광고시장이 137억 달러에 달한 다고 말한 적이 있었는데, 2006년과 비교하여 2007년은 거의 38퍼센트 정도 성장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이러한 수치는 향후 몇 년 간에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검색엔진 시장, 비디오 동영상 시장에 이는 새로운 2008년의 성장시장이 바로 모바일 광고시장이 될 것이고, 향후 예측되는 또 하나의 시장은 무선시장과 연동된 광고시장[GTB2008010509]으로 판단된다.

http://www.reuters.com/

세계 교육기관, 오픈소스 투자 확대 추세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8-01-26

교육기관들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서비스에 대한 투자를 향후 몇 년간 증가시킬 것으로 보이지만, 이로 인한 상업적 소프트웨어의 사용이 둔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한 IT 조사 기업이 주장했다. IT 시장조사기관인 Datamonitor社는 14개 국가의 실태조사를 통해 초급학교와 중등학교, 대학 등이 2012년까지 현재 2억 8천만 달러에 달하는 오픈소스 제품 및 서비스 이용에 4억 8천 9백 9십만 달러를 투입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 수치는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 호주, 인도, 덴마크, 핀란드, 네덜란드, 스페인, 노르웨이, 스웨덴, 그리고 이탈리아의 제품 판매업체와 교육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뷰에 근거한 것이라고 Datamonitor社에서 학교 기술을 담당하고 있는 저스틴 데이비드슨(Justin Davidson)은 말했다.
이번 조사에서 소비 예측은 운영 시스템과 온라인 웹 케스팅 강의를 가능케 하는 학습관리 시스템과 더불어 관리 및 지원 부문의 비용을 고려한 것이다.
이 수치는 조사 대상국가에서 전체 교육 IT 부문에 투자한 것보다는 작은 규모이지만, 점차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데이비드슨은 2010년 이후 오픈소스에 대한 투자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교육 관계자들은 오픈소스에 대해 더 끌리는 이유로서, 어떻게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는지에 대해 알 수 있고, 이로 인해 그 발전상황과 이용에 있어 통제권을 갖고 있다는 느낌이 들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몇몇 관계 기관들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투자 대비 성과가 상업적 소프트웨어보다 더 낫다고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고 데이비드슨은 말했다. 교육기관들은 비록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비용이 무료이기는 하지만, 유지 및 관리 비용으로 인해 오픈소스 제공이 사적 프로그램만큼이나 비용이 들 것이라는 점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교육기관들은 그들의 돈을 상업적 소프트웨어 기업들에게 줄 수 없다는 "철학적(philosophical)" 이유로 오픈소스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오픈소스 사용이라는 대부분의 결정은 전략적인 판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교육기관이 오픈소스를 선택하는데 또 다른 동인(drivers)으로는 정부 측면의 관심이 증대하는 점을 들 수 있다. 인도 특정 지방과 프랑스 정부는 교육기관들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특히 운영시스템에 대한 도입을 강조하고 있다고 데이비드슨은 말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심은 최대 교육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공업체인 Blackboard社에 대한 불만족에서 비롯된 측면도 있다. 2005년 Blackboard社는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기업인 WebCT社를 1억 8천만 달러에 인수하였으며, 교육 시장에서 Blackboard社의 점유율은 70% 이상에 달한다. 同社의 독점적 시장지배력으로 인한 피해를 교육당국은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Blackboard社의 소프트웨어는 아직 자체적으로 오픈소스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예산이 없는 교육기관들에게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하다. 그러고 보면 상업적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는 서로 상호 보완적으로 교육 당국의 이해에 따라 충족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이용이 증가한다고 해서 곧바로 상업적 소프트웨어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http://www.pcworld.com/

IBM의 로터스 매쉬업과 매쉬업 도구 기술 전망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8-01-28

매쉬업(영어: Mashup)은 웹 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정보나 서비스를 융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것이다. 웹 2.0의 구성 요소로서 주목받고 있다. 구글이나 야후, 마이크로 소프트 등이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인터넷 서점 아마존이 제공하는 상품정보 등, 자사의 기술을 웹 서비스로서 API를 공개하는 케이스가 늘고 있으며, 이들 기능에 독자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융합하여 새로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다수의 매쉬업 사례가 등장하여, 범죄 통계 정보, 허리케인 정보, 주유소의 가격정보 처럼 실용적인 것에서, 온천 정보, UFO 목격 정보, 뉴욕의 영화 위치, 현장정보 처럼 취미나 엔터테인먼트에 관한 것까지 여러 종류가 있다. 매쉬업의 원천이 되는 API의 개발에도 박차가 가해지고 있다.

메쉬업이란 원래 음악 용어로 여러 곡을 섞어서 리믹스하는 기술을 지칭하는 말이다


웹 2.0 도래와 함께 많은 인기를 얻은 개념은 응용 프로그램 간 연결을 뜻하는 매쉬업(mashup)이다. 기존의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개발한 기업이 그 소유권을 갖는 것은 물론, 각 응용 프로그램 간의 관계 역시 소유자만이 정의할 수 있었다. 사용자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권리만 갖고 있었다.

그러나 웹 2.0과 분산형 웹, 웹 기반 응용 프로그램의 발달이 매쉬업이라는 새로운 세계를 열었다[GTB2006040416]. 사용자는 이제 각 응용 프로그램을 마치 조립식 장난감의 한 블록처럼 이용하여 자기만의 새로운 프로그램을 창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사용자에게 넓은 융통성을 부여해 무한한 가능성을 창출하는 매쉬업은 애초에 어떤 기반 플랫폼이 주어져 발달한 것이 아니다. 구글 지도(http://maps.google.com/)와 크랙스리스트 벼룩시장(http://www.craigslist.org/)을 엮은 초창기 매쉬업(http://www.housingmaps.com/)의 예를 보면 전적으로 자발적이고 독립적이다(매쉬업 상, “하우징맵스”, http://mashupawards.com/housing-maps/). 그러나 매쉬업이 인기를 끌고 대중화되면서 좀 더 쉽게 매쉬업에 다가갈 수 있는 매쉬업 응용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IBM이 최근 선보인 브라우저형 도구 로터스 매쉬업도 바로 이런 필요성 때문에 개발된 매쉬업 소프트웨어이다(브이엔유넷, “IBM, 로터스 매쉬업 공개”, http://www.vnunet.com/itweek/news/2208089/ibm-unveils-lotus-mashups). 매쉬업이 사용자에게 많은 권한을 돌려준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프로그래밍 언어나 기술에 밝지 못한 일반인에게는 문턱이 높았기 때문이다. 로터스 매쉬업은 비전문가도 쉽게 매쉬업 응용을 개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최근 플로리다 주에서 열린 로터스피어 학술회의(로터스피어 2008, http://www-306.ibm.com/software/lotus/events/lotusphere2008/)에서 공개되었다.

IBM 측이 밝힌 바에 따르면 로터스 매쉬업은 간단한 기업 응용 프로그램을 쉽게 작성할 수 있는 도구로, 예를 들어 어느 기업의 직원이라면 자사의 상점 약도와 공장 재고 현황이 담긴 데이터베이스를 재료로 지도형 재고 관리 매쉬업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준다. 가령 지도의 상점 위치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재고 현황이 뜨는 식의 업무 보조 프로그램을 상상해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수준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려면 상당한 프로그래밍 지식이 요구되겠으나 로터스 매쉬업은 화면에 표시되는 기존의 응용 프로그램을 마우스로 끌어 놓기만 하면 프로그래밍 작업이 완성된다. 같은 원리로 주식 시세 모니터링 프로그램이나 회사 조직도 프로그램도 어렵지 않게 만들 수 있다.

이는 인공지능 분야와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에서 오랫동안 연구되어온 자동 프로그래밍(미국 인공지능 학회, “자동 프로그래밍”, http://www.aaai.org/AITopics/html/autopro.html)이 근래의 매쉬업 기술과 결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웹 2.0과 함께 유행하는 위젯 기술과도 상통한다[GTB2007040536][GTB2007060735]. 위젯은 웹의 구성 요소들을 일종의 부품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로터스 매쉬업 역시 기본 응용 프로그램을 위젯처럼 활용하고 있다. 위젯과의 차이점이라면 기존 위젯이 데이터 공유에는 별 관심을 안 보였던데 반하여, 로터스 매쉬업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료의 손쉬운 공유에 가장 공을 들였다는 점이다.

이번 로터스 매쉬업 개발은 일회성 응용 제작이 아닌 신세대를 겨냥한 IBM의 장기 계획 중 일부로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구글이나 야후와 같은 기업에 비해 구세대 기업이라는 이미지가 강한 IBM은, 마이스페이스와 페이스북에 열광하는 차세대 소비자들에게 관심을 보이고 있다. 마이스페이스와 페이스북에는 여러 가지 위젯형 부품들이 들어 있어 사용자가 각자의 홈페이지를 꾸밀 수 있도록 제공한다. 단순한 온라인 사진첩에 불과한듯 하던 플리커(http://www.flickr.com/)도 매쉬업을 통하면 멀티미디어 대화의 광장으로 거듭난다[GTB2006030081]. 신세대들은 마이스페이스의 공간을 꾸미듯 부품을 골라 조립하고 자기만의 창조적인 세계를 만들어내는데 익숙하다.

로터스 매쉬업과 같은 공통형 매쉬업 도구가 필요한 이유로는 사용자의 편리성 외에도 보안성을 들 수 있다. 위젯의 가장 큰 약점이 보안성이듯이[GTB2007090591], 기존 매쉬업의 맹점이라면 분산 응용이라는 특성상 보안 체계가 취약하다는 점이다. 통합 매쉬업 도구는 관리자에게 모니터링 권한을 부여하여 보안 체계의 구멍을 막을 수 있다.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보안이 요구되는 기밀 데이터와 공공에 공개된 일반 데이터가 뒤섞여버릴 수 있다는 가능성도 매쉬업의 약점 중 하나이다. 보안 분야에서 IBM의 다미아 프로젝트(Damia, http://services.alphaworks.ibm.com/damia/)가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 중이다.

http://www.technologyreview.com/

中, 최초의 고성능 PC 에너지 절약 표준 제정팀 설립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8-01-28

중국은 자국산 블레이드 서버 표준 제정에 이어 고성능 컴퓨터 에너지 절약 표준 제정을 추진하고 있어 관련 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중국의 자국산 블레이드 서버 표준은 중국에서 지난해 인텔의 주도로 발표된 SSI(The Server Systems Infrastructure) 규격과 상호 겸용된다. SSI 규격도 블레이드 서버의 표준으로 지난해 7월 30일 인텔, 랑초(浪潮), 랜샹(聯想), 보우더(寶德) 등의 업체들에 의해 제정 발표되었다.

지난해 고성능 컴퓨터 표준 제정팀을 구성하여 자국산 블레이드 서버(blade server) 표준을 제정해 업계의 주목을 받은 중국 고성능 컴퓨터 표준 사업 위원회는 최근 자국 내 최초의 고성능 컴퓨터 에너지 절약 표준제정팀을 구성하여 관련 표준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1월 25일 신화사 통신이 보도했다.

중국 고성능 컴퓨터 표준 사업 위원회에 따르면, 중국의 고성능 컴퓨터 에너지 표준은 칩(CPU, 칩 세트, 메모리 및 주변 칩), 기기 박스(박스, 선풍기, 전원), 시스템(부하 균형 시스템, ACIP) 등 3개 방면으로 나눠 제정되며, 관련 분야의 업체들이 참여하는 인증 실험실이 구성되어, 관련 제품에 대한 에너지 소모 테스트와 인증을 진행하게 된다.

에너지 절약은 중국의 ‘11차 5개년 계획(2006~2010년)’ 기간 추진하는 중요한 전략이며 중국 내의 IT업체들도 이에 맞춰 에너지 절약형 기기 및 솔루션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고성능 컴퓨터는 전기 소모량이 상당히 많은 분야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2007년 중국 IT제품의 전력 총 소모량은 300~500억 도로 추산되고 있으며 이는 산샤(三峽)수력 발전소의 한 해 전력 생산량과 같은 수치이다. 이에 따라 에너지 소모 감소는 100만 억차, 1,000만 억차 고성능 컴퓨터 개발에 있어 반드시 넘어야 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고성능 컴퓨터 시장은 확대되고 있는 추세로 에너지 절약형 고성능 컴퓨터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세계 블레이드 서버 시장규모는 전체 서버 시장규모의 35%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블레이드 서버 시장규모는 9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GTB2007050325

http://www.ceic.gov.cn/

2008년 시맨틱의 물결, 웹 3.0의 모습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8-02-05

웹 2.0의 개념도 아직 완전히 정립되지 않은 단계에서, 정보통신 업계와 컴퓨터과학 학계에서는 벌써 “웹 3.0”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 웹 3.0은 좀 더 인간에 가깝고 영리한 검색 엔진의 등장과 긴밀히 연계될 것이라는 예상이 전문가들로부터 나오고 있다.

시맨틱 웹 분야는 거품이라는 반발이 있을 정도로 언론을 통해 많은 홍보되었고, 대형 기업들이 많이 뛰어든 분야이다. 그러나 요란한 출발에 비하면 주류로의 편입은 늦어지는 편이다. 하지만, 시맨틱 웹이 현재처럼 특정 분야에서만이 아니라 전체 웹 공간으로 확대 도입될 때 웹 3.0의 시대가 열릴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GTB2007030578].

이러한 시맨틱 기술과 시장을 다룬 “Semantic Wave 2008:Industry Roadmap to Web 3.0 Multibillion Dollar Market Opportunities(시맨틱의 물결 2008 : 수십억 달러 시장의 기회)」라는 제목의 400페이지 리포트를 Project10X가 발표했다. 이 리포트는 소비자 전용의 시맨틱 기술과 기업 어플리케이션의 등장, 그리고 웹 2.0에서 이른바 「웹 3.0」으로의 진화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리포트에서 웹 3.0은 “인터넷을 유저에게 보다 편리하고 즐겁게 하기 위해 의미를 표현하고 지식을 이어주는 것”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즉, 시맨틱 웨이브 그 자체이며, 「웹 3.0」이라는 말은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시맨틱 기술이 현재의 소셜 웹 시대를 강화하고 넓히는 시대에 접어 들은 것에는 동의한다. 이와 관련된 기사는 ReadWriteWeb의 Alex Iskold가 최근 쓴 「시맨틱 웨이브 : 유저층에서 활용의 기폭제가 된 킬러어플리케이션은?」(http://www.readwriteweb.com/archives/semantic_web_what_is_the_killer_app.php)이라는 기사이다.

아울러, 시맨틱 웨이브에서 뜻하는 ‘의미 표현’은 인간뿐 아니라 기계(프로그램)도 이해할 수 있는 ‘의미’를 뜻한다. 기계가 이해한다는 말은 매우 중요하다. 즉, 인간이 메타정보를 주면, 그것을 이해하여 프로그램이 의미에 따라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을 가정한 것이다. 따라서 응용분야에서 기계가 하나로만 해석할 수 있는 ‘의미’ 단위를 가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이 리포트에서 「웹 4.0」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있다. “웹 4.0은 유비쿼터스 웨이브 환경으로 이어가며, 인간과 그 외의 것이 명확한 의사를 가지면서 서로 통신한다”. 다음의 그림은 이러한 웹의 버전을 잇는 개념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그림) 웹의 진화

시맨틱 어플리케이션의 새로운 시대는 전통적인 W3C 기술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고 올바르게 지적하고 있다. 여기에서 “웹 3.0은 플랫폼으로서 현재의 웹 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시맨틱 기술과 오픈 표준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것은 현재 시맨틱 웨이브 표준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기술되어 있다.

또, 이 시맨틱 웨이브로 기대되는 성과에 대한 유익한 논의가 있다. 예를 들면, 웹 브라우저에서 “웹 3.0의 브라우저는 데이터의 시맨틱스를 이해하여 정보를 매개로 메타데이터를 자동적으로 번역한다”라고 하고 있다.

이 리포트는 몇 개의 흥미로운 트랜드도 분석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아이덴티티에 관해서 “이러한 트랜드에서 개인이 인터넷의 모든 장소에서 자신의 개인정보를 운용/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흥미로운 트랜드는 “집합 지식(knowledge) 시스템”으로, 여기에서는 유저가 “콘텐츠, 시맨틱스, 모델, 행동을 더하여 서로 협력하고, 시스템은 학습하면서 사용하기 쉽게 되어 간다”라고 한다. 이와 관련된 트랜드는 ”부흥기에 있는 시맨틱 웨이브, 주목되는 10개 어플리케이션”(http://www.readwriteweb.com/archives/10_semantic_apps_to_watch.php)을 참조하면 된다.

http://www.readwriteweb.com/

향후 25년간 컴퓨터 기술의 주요 변화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8-02-06

최근 향후 25년간 새롭게 출현하게 될 새로운 기술에 대한 보고서는 PC가 2033년경 완전히 사라지게 되리라는 결과를 내놓으면서, 컴퓨팅 기술 자체가 더욱 더 개인화된 기술로 새롭게 진화하게 되리라는 다음의 기사를 내놓고 있는데, 이에 주목활 필요가 있다. 다양한 새로운 기술들이 출현하면서, 컴퓨터라는 존재가 할 수 있는 일이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더욱 강력하여지고, 더욱 이동성이 부여되고, 더욱 연결성이 강해지는데, 향후 25년간에 걸쳐서 이러한 기술이 도대체 어디까지 달려갈 것이며, 우리 삶의 일부분으로서 어디에서 시작할 것인지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전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기술 자체가 사용자 가정에 정보나 엔터테인먼트를 전달하면서 다양한 진보된 기기에 내장되기 시작할 것이고, 인간 몸의 내부에 다양한 의학용 칩들이 내장되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영역으로의 진보가 출현하게 된다. 이러한 새로운 장밋빛 사회는 보안문제와 프라이버시 문제라는 새로운 문제를 양산하면서, 새로운 우려를 내놓고 있는데, 다음의 "다섯 가지 SC-Fu 시나리오의 실현; Five Sc-Fi Scenarios That Will Come True"에 관한 다음의 기사를 더욱 더 주목할 이유가 발생한다.

첫 번째, 2033년까지 완전히 사라지게 될 PC
현존하는 컴퓨터보다 수천 배 빠르고, 수천 배 덜 전력을 사용하고도 크기가 훨씬 작은 나노 컴퓨터의 개발로 인하여 가능하여지는데, 프로세서가 점점 더 소형화되면서, 보다 많은 사물에 내장되어 나타나게 되면서, 수백 개의 칩을 가진 스탠다드 사이즈의 기기를 사용자들이 일반화되어 사용하고, 이는 결국 보다 인텔리전트한 소비자 그룹의 탄생을 출현시키는 결과로 나타나게 될 것이라 예측되고 있다. 이후 또한 주목할 수 있는 새로운 컴퓨터는 2018년경에 출현할 것으로 예측되는 광학(optical) 컴퓨터인데, 빛의 속도로 작동하면서, 단일 채널을 사용하여 수천 개의 메시지를 주고 받는 형태로 나타나게 될 것으로 현재 예상되고 있다. 대부분의 CPU들은 다양한 사물에 내장되기 시작할 것이고, 키보드나 마우스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겠지만 보다 일차적인 인터페이스는 음성과 제스처가 될 것이라 관계자들은 말하고 있다.
바로 또 하나 주목할만한 것이 제스터 기반의 인터페이스인데, 현재 이를 위하여 개발되고 있는 대표적인 제품이 닌텐도사의 제스처 기반의 컨트롤러이다. 종이 두께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기기가 출현하게 될 것인데, 사용자들은 주머니 속에 들어가는 나노 컴퓨터를 휴대하면서, 종이 두께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양한 활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가상 기술이 더하여져서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아마존 사이트에 책을 구입하게 될 때, 이러한 가상상점의 점원을 실제와 같이 직접 만나면서, 책에 대하여 의견을 구하고, 책에 대한 자신의 선택을 지원받게 될 것이다. 미래의 PC는 과거 메인프레임의 터미널들이 그랬듯이 입출력 기능만 담당하게 되는 일종의 Dumb Terminal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두 번째, 지능형 환경의 본격적인 도래
2008년 현재는 그야말로 Ambietn 지능형 세계로의 본격적인 진입이 시작된다. 기술을 포함하기 시작하는 모든 사물들이 주변과 연결되기 시작하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네트워크들이 출현하게 된다. 일본의 한 회사가 개발한 위치기반 서비스는 GPS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카메라 폰을 사용하여, 다양한 매핑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고, 이러한 기기는 2008년 말까지 미국에도 확산될 것으로 현재 예측되고 있다. 가정에서는 특정 센서가 방에 사람이 없으면, 자동으로 조명을 꺼 주고, 온도도 낮춰주는 기능이 출현하게 될 것인데, 전문가들은 미래는 한마디로 실시간 퍼포먼스가 제공되는 대쉬보드의 세계가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가정 내 기기들의 삽입은 주변 다른 이웃과 이전의 웹 기반의 커뮤니티에서는 상상하지 못하였던 새로운 네트워크화된 커뮤니티가 등장하게 되는 결과를 보여주게 되는데, 이러한 기기의 상용화는 10년 내지 15년 내에 본격화되어 나타나리라 현재 예측되고 있다. 가정 내에서 이러한 센서 기술이 가장 크게 위력을 발휘하게 될 분야는 일본의 마쓰시다에서 개발하고 있는 가정 내 구성원의 건강을 자동으로 체크하는 센서 기술인데, 우리가 생각하는 정보와 헬스 분야의 결합은 기존에 우리가 상상하지 못하였던 새로운 컨버전스 영역을 만들어낼 것이라 현재 기대되고 있다.

세 번째, 우리의 일부분이 되는 컴퓨터
앰비언트 컴퓨팅은 가정 내에서 이제는 인간 세포 영역까지 확대되게 되는데, 사람 몸 속에 삽입된 RFID칩이 환자의 전체적인 몸상태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스코틀랜드 애딘버그 대학의 연구진들은 심장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환자의 심장에 컴퓨터화된 센서를 삽입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는데, 본 센서는 병원 내 중앙 컴퓨터에 정보를 전달하고, 전달받으면서, 환자의 수술상태를 지원하게 되고, 향후 10년 내에 본격적으로 상용화될 것으로 현재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바디 컴퓨터의 출현으로 인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할 뿐만 아니라, 의학적 어드바이스를 자동으로 환자의 뇌의 영역에까지 전달하게 되고, 바디 컴퓨터는 사용자의 또 다른 뇌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에게 네 개의 위가 있어 소화를 돕는 것처럼, 사람들은 자신들의 몸 속에 내장되는 두 번째 뇌를 통하여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하게 되는 것이다.

네 번째, 보안이라는 이슈
위에서 언급한 일들이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과는 또 다른 프라이버시가 완벽하게 보장되는 새로운 네트워크의 출현이 요구되는데, 미국 카네기 멜론대학의 컴퓨터 보안팀은 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데, 바이오매트릭스와 암호화 시스템이 보다 개선되면서, 새로운 콤비네이션 기술 영역을 창출하게 되고, 이는 기술과 교육과 법률이라는 영역의 혼합과 동시에, 수많은 정보의 남용과 오사용에 대한 새로운 규정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결과를 나타나게 할 것이다. 전문가들의 시각에서, 프라이버시 문제는 미래의 주인공이 기술이 아닌 인간으로서, 많은 공상과학 영화에서 처럼 기술이 인간을 지배하고 통제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의 일부분으로 현재 여겨지고 있는 것이다.

다섯 번째, 비트와 비트의 결합으로 나타나는 새로운 세상
카메라와 무선 연결의 결합, 카메라와 마이크로폰의 결합은 사람 몸 속에 부착되어, 이전과는 비교도 안되게 저렴해진 하드웨어 저장에 따른 가격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모든 순간을 저장하고, 이를 업로드하는 것이 가능하여진다. 토론토 대학의 관련 전문가들은 이를 위하여 소위 웨어러블 컴퓨터의 본격적인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는데, 사용자의 모든 순간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모든 대화를 녹음하게 되는 본 컴퓨터 기술이 사용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이러한 다섯 가지 변화의 중심은 스마트된 장치로 모든 사물이 연결되고, 연결에 그치는 것이 아닌,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게 되고, 이러한 공간은 온라인과 온라인의 연결,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결을 통하여 가상공간과 실제공간을 혼합시키고, 이 가운데 수많은 정보가 산출되게 되고, 이러한 정보의 핵심을 누가 지배하는지에 대한 보안이라는 이슈에 대한 헤게모니 싸움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http://www.pcworld.com/

그린 IT의 관심은 많지만, 실행은 어려워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8-02-17

현재 IT 산업은 2008년 6월을 기준으로 새로운 환경적 법률과 제약사항이 출현함에 따라 이에 대비할 필요가 있는데[GTB2007120360], 2008년의 주요 IT 분야에서 나타날 3가지 트랜드 중 하나로 IT와 환경문제가 서로 연관관계를 가지고 소위 그린(green) 컴퓨팅이 점점 대두되고 있다고 Unisys는 전망하였다. 2008년에는 기업들이 친환경 IT에 많은 투자를 할 것이며, 기업들의 데이터 센터들은 이전보다 효율적인 스토리지, 더욱 개선된 전력설비, 멀티코어 프로세스들을 사용하는 서버, 가상화 기술 등을 정비하게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GTB2007120749].

이러한 중요성은 실제 조사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지난해 말 IDC社는 중소 규모의 기업에서 대기업까지 기술 제품 및 서비스 구매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IT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조사 결과, 응답자의 대부분인 80%가 그린IT를 조직에 있어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의 절반에 이르는 43%는 제품 구매에 중요한 요소가 판매자의 “환경 중요도(greenness)”라고 응답했다. 이로써, 그린 IT가 경제적 이익에 의한 요인뿐만 아니라, 운영비용을 절감하는 요인에 의해서도 더욱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것이다[GTB2007110246].

이와 비슷하게 시만텍은 전세계를 대상으로 「Green Data Center report」의 조사 결과에서 3/4이 그린 데이터 센터를 전략적으로 도입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고 하였지만, 성공했다고 대답한 회답자는 불과 1/7에 머물렀다고 한다. 여기에서 그린 IT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실행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전력 효율화를 위한 솔루션으로 가장 인기가 높은 것은 서버의 통합화와 서버의 가상화로, 이에 대해 계획하고 있는 관리자는 각각 51%, 47%로 조사되었다. 실제, 회답자 중 68%가 에너지 절약이 가상화와 서버 통합의 주요 요인 중 하나라고 답하였다.

전원을 관리하는 제품 도입에 대해서, 데이터 센터 관리자의 대부분이 계획 단계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0%는 일부의 기기에서, 13%는 데이터 센터 전체 기기에 이미 도입하였으며, 34%는 계획 중이거나 검토 중이라고 한다.

또, 데이터 센터의 소비 전력을 절감하는 기술로서 전력 효율이 높은 CPU가 두 번째로 인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도입을 계획 중이거나 현재 도입 중인 솔루션은 “구형 장치를 보다 전력 효율이 높은 장치로 교환(44%)” , “노후된 하드웨어나 컴퍼넌트의 재이용(39%)”, “전력 소비의 감시(38%)”, “서버 설치 공간 절약(37%)” 등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데이터 센터의 전력 효율화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14개국을 대상으로 총 77명의 데이터 센터 관리자와 인터뷰를 하였고 온라인 조사에서는 800명의 데이터 센터 관리자가 회답하였다.

현재까지 그린 IT에 대한 낮은 인식 수준으로 인해 아시아 지역에서만 PC 이용자들은 지난해 33억 달러에 달하는 전기에너지를 낭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GTB2007090383], 무역연계환경규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은 수출에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많은 기업들이 친환경 기술 및 사업 발굴에 나서면서 친환경 신시장("그린오션")이라는 새로운 움직임도 나타나, 그린 IT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점차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http://japan.cnet.com/

세계 인터넷 이용 현황과 전망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8-02-17

최근 조사에 따르면 2007년 전세계 인구는 66억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11억 5천만 명, 즉 17.5%가 정기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IT 조사기관인 eMarketer의 예측에 따르면 2012년에 전세계 인구 중 17억 명 이상(24.5%)이 한 달에 적어도 한 번 이상 인터넷을 이용할 것으로 나타났다.

금년도에 예상되는 주요 변화로는 중국이 인터넷 사용인구 면에서 미국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되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5억 명 정도가 인터넷을 이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2012년에 이르면 전세계 인터넷 이용인구 중 거의 50% 정도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일 것으로 예측된다. 유럽과 북미의 인터넷 이용자 수는 절대적인 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남미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이용자수 증가에 따라 그 비율은 점차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미 이들 국가가 성숙기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네덜란드와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이 2007년 인터넷 이용률 면에서 세계 최고를 나타냈으며, 인구 중 80% 정도의 비율에 도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과 러시아, 브라질, 멕시코 등과 같은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인터넷 시장의 성숙도가 아직 낮아, 향후 5년간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수 증가에 있어 주요 동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현재 인터넷 이용자 정보는 하나의 셋으로 통합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를 통해 많은 웹 이용 환경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적은 용량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widget)의 이용이 공개 플랫폼에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며, 온라인 쇼핑과 검색, 심지어 이메일 송신과 같은 활동들은 소셜 네트워킹 기능과 결합되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른 인터넷 이용환경의 질적 성장도 크게 기대된다.

웹 3.0의 모습은 어떤 것인가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8-02-19

웹 2.0의 개념도 아직 완전히 정립되지 않은 단계에서, 정보통신 업계와 컴퓨터과학 학계에서는 벌써 “웹 3.0”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 웹 3.0은 좀 더 인간에 가깝고 영리한 검색 엔진의 등장과 긴밀히 연계될 것이라는 예상이 전문가들로부터 나오고 있다.

뉴욕 타임즈의 존 마르코프(John Markoff, http://communication.stanford.edu/faculty/markoff.html)가 웹 3.0을 컴퓨터가 온라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나의 결론을 끌어내는데 필요한 효율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이라고 정의한 이래 이 정의가 널리 알려졌다[GTB2007030578].

또한, Project10X가 발표한 “Semantic Wave 2008:Industry Roadmap to Web 3.0 Multibillion Dollar Market Opportunities(시맨틱의 물결 2008 : 수십억 달러 시장의 기회)」라는 보고서에서 웹 3.0은 “인터넷을 유저에게 보다 편리하고 즐겁게 하기 위해 의미를 표현하고 지식을 이어주는 것”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아울러, 웹 4.0은 유비쿼터스 웨이브 환경으로 이어가며, 인간과 그 외의 것이 명확한 의사를 가지면서 서로 통신하는 것이라고 정의되고 있다[GTB2008020078].

영국신문 Guardian 웹판은 “웹 3.0을 정리한다고 하면 레코멘데이션(Recommendation)과 개인화”라는 기사를 게재하였다. 웹 3.0은 ReadWriteWeb에서도 몇 번 정의된 바 있다.

영국신문 Guardian에 따르면, 현지시간 2월 4일, Jemina Kiss씨는 웹 3.0이 레코멘데이션을 가리키는 것이 될 것이다라고 시사하였다. “만약 웹 2.0을 한마디로 「상호작용」이라고 한다면, 웹 3.0은 레코멘데이션과 개인화가 될 것”이라고 同씨는 말하고 있다. Kiss씨는 Last, Facebook의 Beacon을 예로 들면서 개인화된 레코멘데이션 서비스가 새로운 음악, 제품, 레스토랑 등의 정보를 우리에게 가져오는 것으로 웹의 미래상을 그리고 있다고 하였다.

지금까지 웹 3.0에 대해 최근 몇 년 동안 수 없는 정의들이 산재해 있다. 지금까지의 거의 모든 기사에서 공통된 웹 3.0 테마의 하나는 시맨틱 웨이브로 끊을래야 끊을 수 없는 관계에 있는 것 같다.

2007년 4월 ReadWriteWeb이 개최한, 독자들이 생각하는 웹 3.0의 정의 콘테스트에서 우승한 Robert O`Brien씨의 정의는 “비집중화한 비동기의 나(decentralized asynchronous me)”이다.

“웹 1.0은 집중화된 그들, 웹 2.0은 분산화된 우리, 그리고 웹 3.0은 비집중화한 나”라고 정의하고 있다. “웹 3.0은 자신의 환경에 누군가를 끌어들여 보다 강하게 제어하고 싶은 나와 관계된 것이다. 웹 3.0은 나의 주의를 대상으로 누구에게, 혹은 무엇에게 자신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것이 나에게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이라고 O`Brien씨는 말했다.

O`Brien씨의 말은 기본적으로 Kiss씨의 말과 같은 개인화와 레코멘데이션이다. 그리고 이것은 시맨택웨이브가 제공하거나 약속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시맨틱웨이브의 비전을 유저에게 알리는(판매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그들의 생활을 편리하게 해 준다고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기계가 인간의 말을 이해하여 유저의 지식을 이용할 수 있다면, 우리가 언제 무엇을 원하는지 알 수 있는 웹을 만들 수 있다.

ReadWriteWeb의 Sramana Mitra씨는 웹 3.0에 대해 개인화에 콘텍스트(Context)를 더하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MyYahoo의 개인화 시도는 만족할 수 없는 한정적인 것으로, 문제는 출발 지점이 되는 콘텍스트를 가지지 않은 것에 있다”고 Mitra씨는 지적하고 있다. “내가 예상하는 웹 3.0에서는 구성요소가 다수 존재한다. 예를 들면 영화(Netflix)나 음악(iTunes), 요리?음식, 일하는 여성, 싱글 부모 등의 콘텍스트를 기본으로 알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콘텍스트들의 집합으로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것을 이끌어내는 웹 3.0의 공식을 만들어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웹 3.0은 자신이 갖고 싶을 때에 갖고 싶은 정보를 (적절한 콘텍스트로) 제공해 주는 것이다.

위에서 말한 웹3.0의 공식은 Web 3.0 = (4C + P + VS)이다. 4C 중에서 3C는 Content, Commerce, Community이고, 네번째 C가 Context인 것이다. P는 Personalization이고, VS는 Vertical Search이다.

http://www.readwriteweb.com/

사용자 중심의 오픈소스 플랫폼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8-02-22

MS사가 타사와의 상호 운용성에 기반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 회사로서의 면모를 혁신하여 완료하기 위한 다양한 변화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는 가운데, 우려되는 것 중 하나가 이러한 작업이 얼마나 세밀하게 진행될 수 있는지에 관한 부분이다. MS사는 자사의 소프트웨어 소스를 공개하고 향상된 데이터 휴대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일련의 비즈니스 프랙티스의 정립, 산업표준에 대한 지원 확대, 사용자가 가장 많이 활용하는 데이터 포맷에 대한 지원 부분들을 이러한 과정 속에서 동시에 해결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마이크로소프트사는 다양한 API와 MSDN에 기반을 두고 있는 윈도우 프로토콜에 있는 3만 페이지가 넘는 정보와의 커뮤니케이션 프로토콜의 문서화 작업을 곧 개시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자사의 오피스 프로그램인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API도 곧 선보일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를 통하여 관련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자신들의 문서 포맷에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오피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포맷을 플러그인 형태로 삽입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요소를 디폴트 기능으로 선택하여 자유롭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사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보다 개방되고 유연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제공과 사용자 입장에서 한 가지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작업과 업무 목적에 부합하는 개인화된 시스템 구성의 팔렛트 기능 등이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다른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관계자는 최근 기업마다 사용하는 문서의 수명주기는 이를 만드는 사용자들과 이들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수명주기에 단순히 의존하는 단계를 지나, 이제는 소프트웨어와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이들이 업그레이드될 때마다 이들의 산출물인 문서가 사용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개방화되고 유연화된 오픈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제는 산출물 중심으로 관련 소프트웨어와 애플리케이션들이 구성되는 형식으로 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래한글 파일을 가장 선호한다면 아래한글 파일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하여 기존에 이를 지원하지 않고 폐쇄적인 플랫폼을 고집하던 애플리케이션 제작 집단들이 변화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과거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여러 차례 자사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 전략을 오픈소스 기반으로 공개하겠다고 천명하였지만, 지지부진함을 경험한 적이 있는 일부 사용자들은 이번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결정에 회의적인 시각을 내비치기도 하지만, 완전히 비관적인 것만은 아니다. 현재 오픈소스 엔터프라이즈 콘텐츠 관리 회사의 관계자는 API를 공개한다는 본 회사의 시도는 매우 주목할만한 것이고, 특히 모든 사용자 중심으로 애플리케이션이 새롭게 진화한다는 사실 자체도 주목할만한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기업들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이러한 전략을 자시의 애플리케이션마다 플러그인 형태로 연동시킴에 따라 새로운 이전에는 알지 못했던 가치들이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업 분석회사인 451 그룹사는 이러한 단계진행을 사용자와 경쟁자와 파트너를 모두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도큐멘테이션 생태계의 탄생으로서 기대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바야흐로 소프트웨어 개발전략이 폐쇄적인 플랫폼을 지나 파트너 중심의 오픈소스 플랫폼(협력사끼리만 소스코드 공개 및 공유)에서 경쟁자 중심의 오픈소스 플랫폼(경쟁자에게도 소스코드 공개 및 공유)으로, 다시 이것이 사용자 중심의 오픈소스 플랫폼(사용자 중심의 애플리케이션 제작)으로 진화하게 되는 것이다.

http://www.itweek.co.uk/

테크놀로지 리뷰가 선정한 2008년 유망 컴퓨터 기술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8-02-29

MIT가 발행하는 기술 전문잡지인 테크놀로지 리뷰지는 매년 초에 열 개의 유망 기술을 목록으로 작성해 집중 조명하고 있다. 올해도 2008년 뜨는 기술로 열 개를 선정해 발표했다 이 가운데 두 가지는 생물학 분야의 섬유소 분해 효소 기술과 물리학의 원자 자력계로,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다루고 있다. 뉴런 연결체학, 예외 모델링과 확률론 칩, 현실 마이닝, 오프라인 웹 응용 등 다섯 가지는 기존의 문제를 새로운 각도에서 보는 시도이다. 나머지 세 가지 기술은 그라핀 트랜지스터, 나노 라디오, 무선 전력으로, 새로운 존재를 창조하는 공학 기술에 속한다.

이 가운데 정보통신과 컴퓨터 관련 기술은 예외 모델링(http://www.technologyreview.com/read_article.aspx?ch=specialsections&sc=emerging08&id=20243&a=f), 현실 마이닝(http://www.technologyreview.com/read_article.aspx?ch=specialsections&sc=emerging08&id=20247&a=f), 오프라인 웹 응용(http://www.technologyreview.com/read_article.aspx?ch=specialsections&sc=emerging08&id=20245&a=f) 등 세 가지이다. 앞의 두 가지는 데이터 마이닝 분야의 응용 기술이며, 오프라인 웹 응용은 인터넷 전반과 관련이 있다.

MIT가 10대 유망 기술 중 가장 처음에 내세운 예외 모델링은 직역하면 ‘놀람 모델링(surprise modeling)’으로 해석되는 신기술이다. 데이터 마이닝 기술은 훈련용으로 사용되지 않은 데이터, 즉 ‘아직 보지 않은 데이터’(unseen data)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시금석으로 삼고 있다[GTB2008020509]. 최근 넷플릭스가 주최해 학계에서 큰 화제가 된 넷플릭스 추천 모델 경진대회(http://www.netflixprize.com/)도 이와 같은 원칙에 따라 진행되었다. ‘놀람 모델링’이라는 단어는, 데이터 마이닝의 예측 자체가 이미 가지고 있던 지식으로 예상할 수 있는 예측을 벗어나는 상황에 대한 모형화를 뜻한다.

현대인의 일상생활은 작은 부분 하나까지 예측의 연속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음번 태풍이 언제 상륙할 것이고 피해 규모는 얼마나 될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부동산 가격이 폭락할 때 주식 시장은 어떻게 반응한 것인지, 지금까지 경선 결과를 볼 때 예비 선거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지. 매번 예측이 완벽하게 맞을 수는 없고 조금씩 어긋나게 된다. 이때 예측 모델링 기법으로 어긋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 이 분야 전문가인 MS연구소의 에릭 호르비츠(Eric Horvitz, http://research.microsoft.com/~horvitz/)의 주장이다. ‘놀람 모델링’이라는 이름은 그가 명명한 신조어이다.

호르비츠의 연구팀이 개발한 스마트플로우(SmartPhlow, http://research.microsoft.com/~dcr/work/zonezoom/smartphlow.htm)라는 교통 예측 서비스를 살펴보면 이 기술의 개요를 알 수 있다. 스마트플로우는 MS사가 2003년부터 본사가 있는 시애틀 교통을 대상으로 오랫동안 시험 중인 서비스이다. 시애틀 지도에 붉은색과 녹색으로 교통이 막히는 지역과 잘 뚫리는 지역을 실시간으로 표시해주는 것이 기본 기능이다. 그러나 호르비츠는 일반적으로 어느 도시에서 매일 운전하는 사람이라면 일반적인 교통 상황을 이미 알고 있다는 점에 착안했다. 스마트플로우에 예외 모델링 기술을 이용해 사용자의 예측과 다른 부분을 더욱 강조해 표시하는 기능을 첨가한 것이다. 이 기술에는 수년 동안 축적된 자료를 이용하여 사고 상황과 빈도, 계절과 날씨, 휴일과 연휴, 스포츠 행사 등을 고려한 데이터 마이닝 알고리즘이 포함되어 있다.

‘놀람 모델링’ 기술의 핵심은 자료의 실제 분포가 사용자의 예측과 다르다는 점을 알아내고, 얼마나 다른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인 예측 모델링 기술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사용자의 기대를 측정하여 또 하나의 중요한 자료원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통계학에서 많이 연구된 분포 측정과 베이즈 규칙에 따른 추론 기술[GTB2005051158]이 중심이 된다. 이 분야 전문가인 스탠퍼드 대학교의 대프니 콜러(Daphne Koller, http://ai.stanford.edu/~koller/) 교수는 이 연구가 기존의 예외 탐지 알고리즘과는 달리 미래 예측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고 밝혔다. 기존 알고리즘은 주로 신용카드의 이상 사용 흔적 등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에 대한 예외 패턴을 발굴하는 쪽에 주목해왔다. 호르비츠의 기술은 미래의 돌발상황에 대처해야 하는 여러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유사한 기술인 워싱턴 주립 대학교의 비행기표 가격 예측 시스템[GTB2006070034]의 예를 볼 때 상업화 전망도 밝다.

테크놀로지 리뷰지가 꼽은 또 다른 데이터 마이닝 관련 유망 기술은 ‘현실 마이닝(reality mining)’이다. 현실 마이닝은 MIT에서 중점 연구된 과제라는 점에서 테크놀로지 리뷰지도 지속적으로 연구 성과를 소개해 왔다. 데이터 마이닝이 정적인 데이터, 현실과는 떨어져 있는 데이터에 대한 연구라면, 현실 마이닝은 일상생활에서 모을 수 있는 동적인 데이터, 현실을 그대로 자료화환 데이터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는 주로 휴대전화 등 이동형 기기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분석해 일상생활의 양태 등을 추론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배지를 이용한 사회적 관계와 분석 기술도 등장했으며[GTB2008020012], 노인용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등 복지 분야와의 연계도 유망하다.

마지막으로 오프라인 웹 응용 기술은 인터넷 전반의 기술 흐름과 현재의 웹 2.0 추세에 대한 MIT와 테크놀로지 리뷰지 측의 답변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적인 데스크톱 소프트웨어 환경은 인터넷 기업 구글이 영역을 확장해 이 분야를 침범하면서 온라인 소프트웨어 환경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는 웹 2.0으로의 전환과 맞물린 변화였다. 구글은 2년 전 인수한 잣스팟을 며칠 전 새로 띄우면서 이 분야 진출에 대한 의지를 숨기지 않고 있다(비즈니스위크, “잣스팟, 구글 사이츠로 부활하다”, http://www.businessweek.com/the_thread/techbeat/archives/2008/02/google_sites_ad.html)(구글 사이츠, http://sites.google.com/).

오프라인 웹 응용이란 구글식 웹 응용과 MS식 데스크톱 응용의 장점을 결합하여, 웹 응용 프로그램이나 데스크톱 소프트웨어의 특징을 갖도록 개발한 것이다. 구글의 공세에 위협을 느끼는 MS가 집중 연구 중인 분야이다. 웹 응용의 장점은 항상 최신 버전을 이용할 수 있고, 운영체제나 시스템 사양과 관계없이 인터넷에만 연결되어 있으면 곧바로 실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GTB2007040165]. 반면, 작업 결과가 자신의 하드 드라이브 대신 구글과 같은 대형 기업의 디스크에 저장되고, 마우스로 응용 프로그램 사이를 옮겨다니며 아이템을 떨어뜨리는 드래그-앤드-드롭 방식의 작동은 불가능하다. 프로그램을 구동하려면 항상 브라우저를 통해야 하므로 지나치게 높은 브라우저 의존도도 때로는 불편하다.

아도비 시스템의 케빈 린치(Kevin Lynch, http://www.klynch.com/)가 연구 중인 AIR(Adobe Integrated Runtime, http://www.adobe.com/products/air/)은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환경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차원의 플랫폼이다. 현재 베타 시험 버전이 나와 있다. AIR은 일종의 “실행시간 환경”으로 불리고 있으며, 소프트웨어에 하나의 계층을 더하여 같은 프로그램을 다양한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서 실행시킬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다.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가 AIR과 철학을 공유하는 좋은 예이다. AIR을 이용하면 HTML이나 플래시와 같은 웹 기술로 데스크톱용 소프트웨어를 작성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사용자에게 직접 보이는 기술은 아니나, 성공한다면 소프트웨어 제작 환경을 크게 바꾸어놓을 수도 있어 앞으로의 발전이 주목된다. 온라인 경매 사이트인 이베이는 베타 버전의 AIR로 이미 이베이 데스크톱(eBay Desktop, http://desktop.ebay.com/)이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브라우저에 의존하지 않고도 이베이에 접속해 검색과 같은 각종 기능을 수행하며, 일반 데스크톱 프로그램처럼 사용자 컴퓨터의 자원을 사용한다. 단순히 이베이 사이트를 데스크톱으로 옮겨온 것만이 아니라, 강력한 쌍방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전망이 밝은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와이어드, “이베이의 새 데스크톱 프로그램”, http://www.wired.com/software/softwarereviews/news/2007/10/ebay_desktop).

http://www.technologyreview.com/

SaaS 소프트웨어 시장의 성장 방향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8-03-03

MS사가 엔터프라이즈 시장 공략을 염두에 두고, 엔터프라이즈용 온라인 서비스들을 개발하기 시작하였는데, 금일(08년 3월 3일 기준) 이를 위한 자사의 익스체인즈와 셰워포인트 애플리케이션의 온라인 버전(online versions of its Exchange and SharePoint application)을 공개하며, 이를 2008년 안까지 상용화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MS사의 움직임은 SaaS 딜리버리 시장에서 새로운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하나의 이정표 건설을 위한 포석으로 해석되고 있는데, 현재 SaaS 모델은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시장에서 새로운 시장 영역을 개척하는 가운데, 다양한 수익모델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대표적인 Sass 업체인 Saleforec.com사는 본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 제품을 사용하여 고객관계관리 영역을 새로운 관점에서 개척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핵심 비즈니스에 대하여 제공되고 있는 본 SaaS 제품이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진화할지에 대하여는 다양한 추측들이 난무하고 있기는 하지만, 분명히 현재 발견되고 있는 방향 중 하나는 자사의 서버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사용자로부터 수익을 획득하는 형태로 모델을 개발하게 되고, 이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유사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월별 가입자에 근거한 수익들을 확보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하는 것과 동일하다.
이러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온라인 서비스를 통하여, 본 소프트웨어 회사는 자사의 기존 운영체제와 오피스 중심의 핵심 비즈니스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SaaS 모델 기반 회사로의 성공적인 이전을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서비스를 기준으로 하여, 기업들은 소프트웨어를 가입자 기반 서비스로 재편성하여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사이트 기반 서버 모델이나, 양자 간의 혼합 모델을 기반으로 한 특정 욕구에 부합하는 모델로의 성장을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한 첫 번째 베타버전 모델은 온라인 전자메일, 캘린더 서비스와 접촉 지원 서비스, 웹 컨퍼런스 서비스를 미국 사용자를 중심으로 08년 3월 시작되었고, 추후 가능한 확대 서비스는 2008년 2/4분기에 실시될 예정으로 현재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이전을 관리하는 데에는 다소 시간이 소요되고, 새로운 부담이 생길 수 있기도 하다고 가트너 그룹의 관련 전문가는 논평하고 있기도 하지만, 기업들을 위한 대규모 SaaS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고효율의 가용성과 보안, 멀티 테넌트 아키텍처, 네트워크 형상, 문제해결 관점에서 중요한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경우에는 자사의 핵심역량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멀티 테넌트 서버 모델로 어떻게 이전하여야 하는 문제가 존재하게 되는데, 2011년 출시 예정인 지금까지의 모델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버전의 익스체인지 모델의 출시를 통하여, 기존의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핵심제품들도 멀티 테넌트 SaaS 모델로 이전하게 됨을 관찰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하여 핵심역량에 부합하는 새로운 SaaS 모델로의 성공적인 진화를 가져오게 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이러한 움직임에 자극 받은 라이벌 구글사도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개념의 제품을 출시하여 이러한 엔터프라이즈 시장을 적극 공략할 예정으로 알려지고 있다. 구글사의 경우 지난주(08년 2월 넷째 주 기준) 이러한 SharePoint에 대항할 수 있는 새로운 SaaS 모델 출시 계획을 발표하였다.

http://www.itweek.co.uk/

Mar 5, 2008

MS, 바티칸 면적 2배 규모 초대형 데이터센터 건설?

Dan Farber ( CNET News.com ) 2008/03/05 원문
현재 네티즌을 둘러싼 디지털 공간의 진지 확보 싸움이 전개되고 있다. 그리고 전세계의 네티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빠뜨릴 수 없는 주요 기반은 데이터 센터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수만대의 서버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약 50만제곱피트(1만4,000평)가 넘는 데이터 센터를 24개동 건설할 계획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다. 건설 예정 시기는 불확실하다.

24동의 데이터 센터의 연면적은 1,200만제곱피트(34만평)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데이터 센터 지식(Data Center Knowledge)’의 리치 밀러는 “월마트 매장으로 치면 65점포분을 서버로 다 메우는 것과 같다. 컴퓨터의 설치 면적은 바티칸시국 면적의 2배 이상이 될 것이다. IBM의 데이터 센터의 총면적의 1.5배 이상”이라고 설명한다. 그런데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MS의 데이터 센터 건립 규모는 ‘제1단계’에 불과하다.

초대형 데이터 센터를 건설한다는 이 계획은 아직 정식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MS가 21세기에도 20세기와 같은 성공을 거두고 싶다는 야심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탁상공론에 머무르지 않고 현실화할 가능성은 충분하다.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를 맞이해 이 회사는 자사 법인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최대 고객으로 등극할지도 모른다.